이전 글에 개인형 퇴직연금 IRP에 어떤 종목을 투자하고 있는지 안내를 드렸습니다.
https://stockstudyroom.tistory.com/19
20250102 개인형 퇴직연금 IRP 현황
개인형 퇴직연금 IRP를 2024년 8월부터 월 30만 원씩 적립하고 있습니다. 투자에 너무 늦게 눈을 떠서 늦은 감은 있지만 그래도 장기투자를 목적으로 하루라도 빨리 시작하는게 이익일 것 같아 시
stockstudyroom.tistory.com
그리고 첫 번째 투자 종목인 TIGER 미국S&P500도 소개를 드렸습니다.
https://stockstudyroom.tistory.com/21
보유 ETF 종목 리뷰 - 1. TIGER 미국 S&P500
이전 글에 개인형 퇴직연금 IRP에 어떤 종목을 투자하고 있는지 안내를 드렸습니다.https://stockstudyroom.tistory.com/19 20250102 개인형 퇴직연금 IRP 현황개인형 퇴직연금 IRP를 2024년 10월부터 월 30만 원
stockstudyroom.tistory.com
오늘은 두번째 투자 종목인 KODEX 미국나스닥100TR 종목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지난번 글에서 소개드렸던 S&P500은 500개 우량주로 구성되어 있다고 소개드렸습니다. 이번 글에서 소개드리는 KODEX 나스닥100TR도 비슷한 개념으로 미국 나스닥100 시장에 상장된 100대 우량 성장주에 투자할 수 있는 대표적인 상품입니다.
S&P500과 나스닥100은 미국 주식 시장을 대표하는 두 주요 지수이지만 자세히 살펴보면 차이가 있습니다.
- S&P500: S&P500 지수는 500개 대형 우량주로 구성된 지수이며, 미국 주식 시장 전체 시가총액의 약 80%를 차지하는 대형주(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 존슨앤존슨, 엑슨모빌 등) 들이 포함되어 있어 전반적인 미국 경제를 반영하고 있습니다.
- 나스닥100: 나스닥100 지수는 나스닥 시장에 상장된 상위 100개 비금융 대형주로 구성되며, 금융 섹터를 제외한 기술, 헬스케어, 소비재, 통신 서비스 등 고성장 산업의 기업(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 테슬라, 엔비디아 등) 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차이가 보이시나요? S&P500은 다양한 산업에 골고루 분산되어 있는 반면에, 나스닥100의 경우 금융주가 제외되고 기술주 비중이 높으며 고성장 산업 중심으로 구성됩니다.
결국 안정성은 S&P500, 성장성은 나스닥100이 더 크다고 할 수 있겠죠.
이러한 이유로 두번째 종목은 성장주 중심의 나스닥100 지수를 추종하는 KODEX 미국나스닥100TR을 선택하였습니다.
또 하나의 장점이 있었습니다. 바로 TR(토탈 리턴) 지수 기반인 거죠.
TR(토탈 리턴) 지수 기반 ETF의 장점KODEX 미국나스닥100TR은 토탈 리턴 지수를 추종합니다.
|
그렇다면 KODEX 미국나스닥100TR의 상위 10대 투자 종목은 어디인지 살펴볼까요?
* 상위 10개 구성 종목 및 비중(2025. 1. 3. 기준)
연번 | 구성종목 | 비중 |
1 | 애플(Apple Inc) | 약 9.79% |
2 | 엔비디아(NVIDIA Corp) | 약 8.50% |
3 |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 | 약 8.10% |
4 | 아마존(Amazon.com Inc) | 약 5.96% |
5 | 브로드컴(Broadcom) | 약 4.63% |
6 | 테슬라(Tesla) | 약 3.79% |
7 | 메타 플랫폼스 클래스 A(Meta Platforms Inc-CL-A) | 약 3.30% |
8 | 알파벳 클래스 A(Alphabet Inc CL-A) | 약 2.86% |
9 | 알파벳 클래스 C(Alphabet Inc CL-C) | 약 2.72% |
10 | 코스트코 홀세일(Costco Wholesale Corp) | 약 2.58% |
어떠신가요? 이전 글에서 보여드렸던 TIGER 미국S&P500과 차이가 보이시나요? 기술주들이 강세인 요즘에 따라 기술주는 비슷하게 보일 수 있지만, 나스닥100에서는 금융주가 제외됨에 따라 버크셔 해서웨이가 없고 코스트코홀세일이 새롭게 보이네요.
결론적으로 KODEX 미국나스닥100TR은 미래 성장 가능성이 높은 기업에 분산투자할 수 있다라는 동일한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조금 더 공격적인 투자를 하는 경우에 추천을 드리고 싶네요. 또한 배당 수익까지 포함한 TR 지수 추종임에 따라 배당금 신경쓰지 않고 복리효과를 누릴 수도 있다는 점도 장점입니다.
제가 안내드리는 종목 설명을 기반으로 본인만의 좋은 투자 포트폴리오를 만드셔서 성투하시길 바랍니다.
'IRP&ISA'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유 ETF 종목 리뷰 - 1. TIGER 미국 S&P500 (2) | 2025.01.04 |
---|---|
20250102 중개형 ISA 현황 (0) | 2025.01.02 |
20250102 개인형 퇴직연금 IRP 현황 (0) | 2025.01.02 |